728x90
반응형

전체 글 109

영어 귀가 뚫리는 영어 팟캐스트 추천

영어공부할 때 팟캐스트의 장점  처음에 영어로 기본적인 대화도 이해하지 못했던 내가 4년 후 해외에서 영어로 의사소통하며 일을 할 수 있게 될 때까지 나는 영어를 꾸준히 공부해왔다. 나는 매일의 일상 속에서 영어에 최대한 많이 노출될 수 있도록 주위 환경을 조정했는데, 그중에 하나가 여가시간에 영어 팟캐스트를 들어왔던 것이다. 1. 투자한 시간대비 비교적 큰 인풋영어 콘텐츠는 기사, 유튜브, 넷플릭스 등 다양하게 있지만 그들과 다른 내가 생각하는 팟캐스트의 장점은 팟캐스트는 오로지 소리에만 의존하는 것이라는데에 있다. 유튜브 영상을 시청하다 보면 유튜버들은 끊임없이 말을 하기 보다는 쿠킹영상이나, 메이크업 영상 등 그냥 영상만 내보내는 순간들이 있다. 영어를 공부하려 유튜브를 보는 입장에서 이런 오디오가..

언어공부/영어 2024.09.21

영어 귀가 뚫리는 영어유튜브 추천

가장 중요한 것은 일상에서의 영어 노출과 꾸준함 영어로 기본적인 대화도 힘들어하던 내가 4년후 해외에서 영어로 근무하기까지 나는 영어를 참 꾸준히 학습해왔다. 독학을 통해 영어를 학습한 내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일상에서의 영어 노출과 꾸준함이다. 영어를 '공부'한다라고 생각하고, 일주일에 두세번 영어 학습지를 푼다고 해서 영어 실력이 드라마틱하게 향상되지 않는다. 더군다나 내가 영어 공부하는 목적이 원어민과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라면 학습지 푸는 것, 영어 기사 조금 읽는 것은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내가 택한 방법은 일상에 영어를 노출시키고, 이를 꾸준하게 지속하는 것이다. 어차피 노는 시간 영어 노출도 같이 하기  그렇다면 다음 질문은 나는 어떻게 일상에 영어를 노출시켰나..

언어공부/영어 2024.09.16

예금 풍차돌리기 2년 후기

예금 풍차돌리기 하게 된 배경나는 현재 회사로부터 해외에 파견되어 근무하고 있다. 근무를 시작한 2022년 11월부터 지금까지 약 2년간 회사로부터 월급과 체재비를 받아 왔다. 월급은 매달 세전 300만원 조금 넘는 정도라 세후 270만원 가량 받아 왔고, 체재비는 한달에 약 400만원 가량 받는데 장기 파견 시 2개월치 씩 나눠서 받기도 하고, 더 짧게 나눠 받기도 해서 목돈인 체재비가 들어올 때마다 예금을 하나씩 들었다. 내가 파견된 곳은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인데 이곳에서 생활하기에는 내 월급만으로도 충분해서 나는 체재비는 아파트 연세를 제외하고는 전액 저축하고 월급의 일부만으로 생활해왔다. 아파트 연세는 1년차에 480만원 (공과금 포함 월 40만원) 냈었고, 2년차에는 약 570만원 (공과금..

경제 2024.09.15

코이카 PAO(Project Action Officer) 합격후기

나는 현재까지 2년간 PAO로 활동하고 있다. PAO 합격후기는 온라인상에 많지 않은 것 같아 나의 후기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었고, 학사 졸업 이후부터 지금까지 쌓아 온 커리어 정리차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학사 졸업 이후부터 쌓아 온 커리어 1. 5년제 건축학과 졸업나는 5년제 건축학과를 2021년 2월 졸업했다. 막학기에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꿈이 생겼는데, 건축과의 연결고리를 찾기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일단 당시 현 자리에서 할 수 있는 것부터 해보자고 다짐했고, 리서치 후에 아래 세 가지 활동을 했다.ODA 일반자격증 취득굿네이버스 NGO Traveler 활동TOEIC 900점대 취득2. KOICA ODA YP 활동 학교 다닐 때 도시 수업 커리큘럼에 포함돼 있었어서 국제개발협력에..

국제개발협력 2024.09.15

KOICA PAO(Project Action Officer) 월급 정보

국제개발협력은 신념으로 하는 일, 경제적 보수는 기대할 수 없다? 국제개발협력은 돈을 많이 못 번다는 인식이 있다. 주위에서 국제개발협력 일을 하면서 느껴지는 사명감이 좋아서 뛰어들었지만 경제적으로 부담을 느껴 그만 두어야 할지 고민중이라는 얘기가 간혹 들리기도 했고, 실제 국제개발협력 일을 하시다 경제적인 이유로 다른 분야로 떠나시는 분들을 목격하기도 했다. 그러나 내가 경험한 결과, 괜찮은 경제적 보상을 받으며 분야에 남는 방법들도 있기 때문에 내 경험담을 통해 이에 대한 인식을 깨고 싶어 지금까지 수익에 관한 이야기를 블로그에서 해왔다.  최저임금 받았던 NGO 국내 본부 간사 근무 물론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최저임금을 받는 기관과 포지션도 분명 존재한다. 내가 이전에 근무했던 기관이 그렇다. 국내..

국제개발협력 2024.09.06

해외파견직 장점 VS 단점

나는 2년전부터 해외 사업 현장에 파견되어 지금까지 해외에 거주하며 일하고 있다. 해외파견직에도 다양한 분야가 있지만 이 다양한 분야를 관통하는 해외파견직의 장점과 단점을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에서 남겨본다.장  점 1. 경제적으로 유리 해외파견직의 장점은 월급 이외에 체재비를 지급 받을 수 있다는 점인데 내 계약의 경우에는 이 체재비가 월급 이상으로 들어온다. 세후 월급 280만원에 체재비 월 400만원을 합해 월 680만원을 회사로부터 지급받고 있다. 국내에 있었더라면 월 280만원만 받았을텐데 해외에 파견직으로 나와있다보니 월급 이상의 수익을 거두고 있다. 또한, 본인 생활하기 나름이긴 하나 대부분의 파견자들이 국내에 있을 때보다 단조로운 생활을 하게 된다. 그로인해 돈은 더 빨리 많이 모을 수 있다..

국제개발협력 2024.09.04

20대 직장인 2년간 1억 모은 후기

나는 직장생활 2년차에 1억을 모았다. 이는 2년차부터 월 680만원을 직장에서부터 받았고, 이중의 88%인 600만원을 매달 꼬박꼬박 저금해 왔기 때문이다. 1억을 모은 후에도 저축은 계속되어 현재 직장생활 3년차인 내 재산은 1억 7천만원을 향해가고 있다. 나는 어떤 일을 하기에 직장생활 2년차에 680만원을 받고, 어떻게 생활하길래 매달 수입의 88%를 저축할 수 있었을까? 그답은 내가 해외파견직으로 월급 이외에도 체재비를 지급받고 있다는 것과, 내 생활패턴에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전 게시글(제목: 20대 연봉 8,000만원 후기)에 잘 정리해 두었으므로 해당 게시글을 참고하길 바란다.   [1억을 모으기까지의 여정] 나는 직장생활 1년차에 2021년 당시 최저임금을 받아 월 실수령 1..

경제 2024.09.02

내가 20대에 월 600만원 저축할 수 있었던 이유

나는 현재 직장에서 연 8,000만원, 한달 680만원 가량을 받고 있다. 1년차에 연 2,000만원을 받던 나는 2년차부터 연 8,000만원을 받으며 4배의 연수익 인상을 경험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전 게시글(제목: 20대 연봉 8,000만원 후기)에 남겨 두었으니 자세한 사항은 해당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직장생활 2년만에 1억 모으기] 나는 2년 조금 안되는 기간동안 월평균 600만원을 꼬박꼬박 저금해 왔다. 덕분에 내 재산은 처음 3,500만원에서 시작해 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인 2024년 8월 1억6천만원이 되었다. 1억 3,000만원을 2년도 안되는채 모았다는 건데, 자취하면서 월세, 공과비 등 다 나가는 와중에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 아무것도 안하고 집-회사-집-회사만..

경제 2024.08.31

20대 2년차 직장인 연 8,000만원 번 후기

나는 20대 3년차 직장인으로, 2년차부터 지금까지 쭉 연 8,000만원 수입을 올렸다. 수입원은 단 하나, 직장이다.  나는 어떻게 직장생활 2년차에 연 8,000만원을 받을 수 있었을까? 누구나 이름만 들어도 아는 국내 굴지의 대기업에 다니나? 돈 많이 받는 업계에 종사하나? 뛰어난 기술이 있나? 모두 아니다.  내 직업은 프로젝트 코디네이터로 굳이 말하자면 문과 직장이다. 그렇다면 대체 나는 직장생활 고작 2년만에 어떻게 연 8,000만원을 받을 수 있었을까? 나는 2021년초 대학교 졸업 후, 1년반 동안 인턴과 계약직 직원을 거쳐 현 기관에 2022년말 입사했다. 입사와 동시에 연 8,000만원을 받았다. 인턴과 계약직 직원일 당시 월 실수령 170만원 정도로 연 2,000만원 정도였으니  2,..

경제 2024.08.31
728x90
반응형